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커뮤니티를 위한 마스토돈 안내서
    카테고리 없음 2024. 7. 29. 12:53



     

    안녕하세요!

    해당 포스팅은 저희 자캐 커뮤니티 멤버 여러분들을 고려, 기존 존재했던 가이드를 참조하여 작성된 저희 커뮤니티를 위한 안내서이니 자유롭게 참조해주세요. 또한 틀린 부분을 발견하셨다면 언제든 지적을 부탁드립니다. 수정 내역을 아래로 기재하겠습니다.

    정말 커뮤니티를 운영할 수 있을 만큼의 정보만 최소한으로 담고자 하였습니다. 저도 아직 모르는 부분이 많습니다.

     

     

     

     

    1. 마스토돈 서버 고르기

    트위터가 1개의 대기업의 총괄 아래 모두가 부대끼고 살았던 세계라면, 마스토돈은 여러개로 나누어진 서버에 신세를 지는 세계입니다. '메X플 스토리' 혹은 '마X노기' 와 같은 온라인 RPG 게임을 해보신 분들이라면 A 서버 / B 서버 / C 서버 등으로 나누어져 해당 서버에서 게임 플레이 및 교류를 할 수 있음을 아시겠지요.

    마스토돈도 이와 비슷합니다. 약간 다른 지점이 있지만 그 부분은 중요하지 않기에 넘어가겠습니다.

     

    마스토돈에는 자캐 커뮤니티 활동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자커마스 v3 이라는 서버가 존재합니다.

    https://occm.cc/about

     

    자커마스 v3

    자작 캐릭터 커뮤니티를 위한 자커마스 v3입니다.

    occm.cc

    바로 위 서버입니다.

    자캐커뮤에 특화되어 있어, 저희는 이 서버를 통해 활동하게 될 것입니다.

     

     

     

    2. 마스토돈에 가입하기

    위 링크를 통해 접속하여 [계정 생성] 을 합시다.

    몇개의 규칙이 뜰 텐데 어차피 저희는 어길 일이 없습니다. ACCEPT (승인) 하고 넘어갑시다.

    위 이미지대로, 저희는 필요한 정보를 작성해 계정을 생성하게 될 거예요.

    이때 사용자명의 경우 한 번 정하면 절대 두 번 다시 죽어도 바꿀 수 없습니다.

    사용자명 양식은 이름_나이 입니다.

    <앨리드 무어>는 Allied_38이 됩니다.

     

    마스토돈은 트위터처럼 커다란 채널이 있는 것이 아니라, 각 서버마다 계정을 만들어 로그인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추후 이렇게 만든 계정은 occm.cc 이라는 채널에서, 여러분이 입력해주신 이메일과 암호를 치고 로그인하게 될 거예요.

    만약 제 사용자명이 Allied_38이라면, 제 사용자 풀네임은 Allied_38@occm.cc이 됩니다. 검색창에서도 이렇게 찾을 수 있어요.

     

    등록하신 후 확인 메일을 받고 나면 바로 계정이 만들어집니다.

    남의 서버에 신세지는 셈이라 예시 계정을 보여드릴 수 없어 무척 송구합니다.

     

     

     

    3. 마스토돈 계정 설정하기

    마스토돈의 계정은 처음 들어가면 웬 모르는 남들의 글이나 계정이 보입니다.

    그렇습니다. 설정을 안 해두면 저희의 프로필뿐 아니라 봇계 트윗이 전세계에 생중계될 수 있는 것입니다. 솔직히 부끄럽습니다.

    따라서 보통 저희가 자캐 커뮤니티에서 계정 준비가 완료되면 처리하는 것처럼, 저희끼리만 확인하고 트윗을 볼 수 있게 '프로텍트' 설정을 해주어야겠죠?

     

    계정을 만드신 후 [사용자 설정]에 들어가주세요.

    그리고 아래의 옵션을 찾아 체크합니다.

    [프로필] 란에서 편집 가능. 이 옵션은 여러분의 <계정>을 비공개로 만듭니다.
    [사용자 설정] 의 [기타]란에서 편집 가능. 이 옵션은 저희가 올리는 모든 트윗들을 항상 <팔로워에게만 공개>하는 상태로 만듭니다.

     

    위의 두 가지 옵션을 체크하고 나면 여러분은 프로텍트 계정과 다름이 없게 됩니다.

    [팔로우 요청 필요]를 체크하지 않으면 모르는 사람이 자신의 계정을 팔로우할 수도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트위터의 프로텍트 계정과는 약간 개념 차이가 있습니다만, 어쨌든 저희만 보고 저희끼리만 대화한다는 지점에서 결과는 비슷합니다.

     

    총괄계정의 경우에는 [팔로우 요청 필요]를 체크하지 않고 '공개 프로필'로 두되, 업로드되는 글은 [비공개]로 둘 수도 있겠죠.

    혹은 업로드 글 설정을 [미등재]로 해도 좋겠습니다. (미등재는 공개 타임라인에 올라가지 않을 뿐, 누군가 확인은 가능합니다)

     

    여기까지 하고 나면 우선 저희가 필요로 하는 계정의 기본 설정은 완료됩니다.

    옵션을 변경한 후 아래로 화면을 내려 [변경 사항을 저장]하는 것 잊지 마세요!

     

     

     

    4. 마스토돈 계정 살펴보기

    (1) 꾸미기

    이 부분은 별로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 트위터랑 비슷하기 때문입니다.

    닉네임, 자기소개(바이오), 헤더, 프로필 사진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제가 캡쳐한 것은 다른 서버의 화면이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기본적 구성만을 참조해주십시오.

    (2) 툿 작성

    마스토돈에서는 트윗을 툿이라고 부릅니다. (비공식)작성창은 다음과 같이 나와 있는데, 의외로 어렵지 않습니다!

    1 ) 파일(사진, 동영상 등)을 첨부할 수 있습니다.

    2 ) 투표를 올릴 수 있습니다.

    3 ) 여러분이 올릴 툿의 공개 설정을 바꿀 수 있습니다. [공개] [미등록] [팔로워 전용] 그리고 [멘션한 사람들만] 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보통 건드릴 일은 없지만 몇가지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후술할 (3) DM에서 마저 설명하겠습니다.

    4 ) 트위터에서는 '후세터' '프라이베터' 등으로 주의문을 따로 빼어서 썼는데, 마스토돈에는 이 기능이 자동 탑재 되어있습니다. [콘텐츠 경고]라고 읽고, 아래의 사진과 같이 주의문과 함께 클릭을 해야 열어볼 수 있는 일종의 쿠션 기능이라 볼 수 있겠네요.

    이런 식으로 작성하면, 업로드 시 누르지 않는 이상 '무시무시한 이야기 주의'만 보이게 된다

    5 ) 언어 변경. 마찬가지로 쓸 일 없습니다.

    이렇게 작성한 툿은 옵션에서 [프로필 고정] 을 선택, 트위터의 메인 고정 트윗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DM

    마스토돈의 DM은 트위터와 다르게, 쪽지 창으로 주고받아지지 않습니다. 대신하여 글의 [멘션한 사람들만] 옵션을 통해 오갑니다.

    일반적인 글의 맨 앞에 @아이디 를 넣고, 옵션을 [멘션한 사람들만] 으로 바꾸면 그 사람에게만 보이는 글이 되는 것이죠.

     

     

    (4) UI

    마스토돈의 UI는 트위터와 다르기 때문에 불편함을 느끼실 수 있습니다.

    이를 대비해 공식 웹에서 몇가지 기능을 제공합니다.

    [사용자 설정]의 [외관] 탭에서 <사이트 테마>를 확인해보세요! 실제 트위터 공웹처럼 변경이 가능합니다.

    또한, 같은 탭의 <고급 웹 UI 활성화>를 체크하면 트위터의 Tweetdeck과 유사한 칼럼식 운용도 가능합니다.

    활용 예시

     

    (5) 프로필 메모

    중요한 기능은 아니지만, 커뮤니티 이용에 활용할 수 있을만한 정보라 추가로 기재합니다.

    마스토돈에서는 해당 사용자의 프로필로 가면, [노트]라는 것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상대에게는 보이지 않고 자신에게만 보이는 일종의 메모 기능이에요.

    계정마다 들어가 확인하고픈 정보가 있으면 이 부분을 이용해도 괜찮을 것 같네요!

     

     

     

    5.기타 방식으로 마스토돈을 이용하자

    위 내용 이외에도, 모바일 및 PC 이용에 도움이 될 만한 몇가지 앱과 응용프로그램을 소개합니다.

    활용하면 최대한 트위터와 유사하게 사용할 수 있으리라 기대합니다.

     

    모바일 안드로이드 환경 (앱)

    • Tusky : 직관적인 UI, 그러나 좀 투박합니다. DM란 분리 O, 테마 라이트/다크 O, 다중 계정 O, 색 설정 X 그리고 <알림이 제때 안 옴!!!> ntfy라는 앱을 추가로 깔아야 합니다.
    • moshidon : 트위터 모바일에 가까운 UI입니다. DM란 분리 X, 테마 라이트/다크 O, 다중 계정 O, 색 설정 O
    • megalodon : moshidon과 거의 똑같은 앱입니다. moshidon보다는 속도가 빠르지만 없는 기능도 있다고 하네요.

     

    모바일 iOS 환경 (앱)

    • Amaroq : 가장 무난한듯. 사실 제가 iOS가 아니다보니 이 부분 관련 정보가 부족합니다. 혹시 아시는 분 있으면 알려주세요...
    • IceCubesApp : 역시나 많이 사용하십니다. 단점은 GIF 이모지가 움직이지 않음...이던데 커뮤니티에서 이게 중요할 것 같진...

     

    PC 환경

     

     

     

    위 정보만 있으면 계정을 생성하여 글을 올리고, 교류하는 것에는 큰 문제가 없을 것 같습니다!

    다만 구체적인 정보나 상세한 세팅 등은 생략되어 있습니다. 뮤트 키워드, 블락, 마음(favorite), 북마크 등 트위터에 존재하는 기능도 존재합니다만 설명보다는 직접 체험해보는 편이 좋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이후로의 활용 및 정보는 저또한 알아가야 하고, 다른 분들에 비해 부족한 부분이 있을 수 있어 포스팅은 이 정도로 마치고자 합니다.

    혹여 첨삭을 원하시는 부분을 발견하셨다면 알려주세요.

     

     

     

Designed by Tistory.